윈도우11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TPM 2.0이 있어야 합니다.
TPM은 하드웨어적으로 여러가지 보안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부품으로,
대개 컴퓨터의 중요 부품인 메인보드에 장착된
작은 컴퓨터 칩(집적회로)의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요근래 출시된 대부분의 메인보드는 TPM 기능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윈도우상에서 TPM이 지원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로는 장치관리자에서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키보드의 윈도우키 + R 키를 동시에 누르면 실행창이 뜨는데 여기에 devmgmt.msc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바로 장치관리자가 뜹니다.
장치관리자 목록에서 보안장치를 클릭하시고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 모듈 2.0이 있으면 TPM 2.0이 활성화 된 것입니다.
두번째 방법은 윈도우+R 키를 동시에 눌러 실행창이 뜨면 tpm.msc 를 입력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TPM 관리창이 뜨면 중간에 상태란에 'TPM을 사용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라고
뜬다면 TPM이 활성화 된 것입니다.
만약 TPM이 활성화 되지 않았다면 메인보드의 바이오스상에서 TPM을 활성화 시켜줘야 됩니다.
바이오스에서 TPM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은 다음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윈도우11 설치를 위한 바이오스타 BIOSTAR 메인보드 TPM2.0 활성화 방법
윈도우 11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TPM2.0이 활성화 되어야만 합니다.최신 메인보드에서는 대부분 TPM2.0을 지원합니다.바이오스타 A320M 메인보드에서 TPM을 활성화 시키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바이
yzzz.tistory.com
'컴퓨터 사용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주요 압축,압축해제 명령어 모음(tar,zip,gzip,gz,bzip,bzip2,xz) (0) | 2024.12.11 |
---|---|
공유기 제조사별 관리자페이지 IP주소 및 기본 관리자 비밀번호 (0) | 2024.12.11 |
윈도우11 설치를 위한 바이오스타 BIOSTAR 메인보드 TPM2.0 활성화 방법 (0) | 2024.11.24 |
HDMI케이블이란? HDMI의 종류와 규격 버전별 차이 (0) | 2024.11.23 |
USB 규격의 종류, 특징, 차이점,커넥터 A타입 B타입 C타입 (0) | 2024.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