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MI는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의 약자이며, 디지털 방식의 비압축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1개의 케이블로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규격입니다.
과거 주류였던 AV용 인터페이스 RCA케이블과 비교해 케이블의 수가 줄어들어,
배선이 깔끔해져서 연결하기 쉽고, 고해상도 영상과 고음질의 음성을 전송할 수 있는 것이
메리트로, 현재 AV시스템의 주된 연결 방식입니다.
HDMI의 최초 버전이 되는 「HDMI 1.0」은, 2002년에 규격화되었습니다.
PC 디스플레이의 디지털 접속 규격으로 보급된 DVI를 기반으로 음성 전송
기능이 추가된 형태였습니다.
기능면에서는, 하이비젼 해상도의 디지털 방송이나 블루레이 영상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보호를 위한 암호화 기술 「HDCP」가 포함되었습니다. 그 후 등장한 HDMI 버전과
주요 신규 대응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HDMI 기기 버전 | HDMI2.1 | HDMI2.0 | HDMI1.4 | |
HDMI 케이블 규격 |
정식 명칭 | Ultra High Speed with ETHERNET |
Premium High Speed with ETHERNET |
High Speed with ETHERNET |
약칭 | Ultra High Speed HDMI | Premium HDMI | High Speed HDMI | |
최대 해상도 | 8K/60Hz | 4K/60Hz | 4K/30Hz | |
전송 속도 | 48Gbps | 18Gbps | 10.2Gbps | |
주 용도 | HDMI2.1 기기의 접속 8K 영상의 전송 |
HDMI2.0 기기의 접속 4K 영상의 전송 |
FullHD 영상 기기의 접속 |
HDMI 버전별 대표적 특징
HDMI 1.1 (2004년) : DVD Audio, PCM 8ch(7.1ch)의 전송을 지원
HDMI 1.2 (2005년) : SACD(1bit 오디오)의 8ch 전송을 지원
HDMI 1.3 (2006년) : 2K영상 전송 지원, 전송 가능한 대역이 2배인 10.2Gbps로 확대
HDMI 1.4 (2009년) : 4K/24p영상, 3D(HD)영상을 지원
HDMI 2.0 (2013년) : 전송 대역이 18Gbps로 확대. 4K/60p 영상 전송 지원
HDMI 2.0a/b (2015~2016년) : HDR 영상 전송 지원
HDMI 2.1의 주요 신기능
고해상도에 대응: 8K를 넘는 10K에 대응
고프레임 레이트에 대응: 비압축 영상으로 최대 8K/60Hz(4:2:0/12bit), 4K/120Hz(12bit/4:4:4)에 대응
HDR 기능의 강화: 프레임마다 동적으로 휘도의 정의가 가능한 「다이나믹 HDR」을 규정
ARC 기능의 강화: ARC(Audio Return Channel)에서 Dolby Atmos와 DTS : X와 같은 객체 방식의
음성이 전송 가능한 "eARC"에 대응 (TV에서 AV 앰프 방향으로의 음성 전송)
HDMI 단자의 종류
HDMI의 커넥터는 A부터 E까지 총 5개의 규격으로 나뉘어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HDMI케이블은 주로 스탠다드 A타입입니다.
B타입은 전혀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E타입은 자동차 연결 시스템용으로
진동으로부터 단자분리를 방지하고,
습기와 먼지를 보호하기 위해 고정탭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니타입인 E타입과 제일 작은 커넥터인 D타입은
주고 노트북등의 소형기기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컴퓨터 사용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11 설치를 위한 TPM 활성화 확인방법 (1) | 2024.12.04 |
---|---|
윈도우11 설치를 위한 바이오스타 BIOSTAR 메인보드 TPM2.0 활성화 방법 (0) | 2024.11.24 |
USB 규격의 종류, 특징, 차이점,커넥터 A타입 B타입 C타입 (0) | 2024.11.23 |
ASUS,MSI,ASROCK,기가바이트 메인보드 가상화 활성화 방법(인텔VT / AMD SVM 켜는 방법) (0) | 2024.11.23 |
위즈베라 프로세스 매니저(wizvera process manaer)의 역할과 삭제방법 (0) | 2024.08.01 |